삼성바이오로직스(이하 삼바) 분식회계가 실재했던 것으로 결론이 나면서 사태가 어떻게,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증권선물위원회의 ‘고의적 분식회계’ 결론 이후 나타나고 있는 논란도 사태 전개에 영향을 미칠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현재 시점에서의 가장 큰 관심사는 시가총액 22조(6위)짜리 대형주의 몸통인 삼바의 상장 폐지 여부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이 문제가 갖는 민감성을 반영하듯 15일 현재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찬반 의견이 앞다퉈 올라오고 있다. “기업투자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재산 피해는 누가 책임지느냐”며 상장 폐지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난무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에서는 ‘법대로’를 주장하며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엄벌 찬성론자들은 “대기업인 삼성도 상폐(상장 폐지)가 된다는 걸 이번 기회에 본보기로 보여야 한다”라든가 “분식회계는 상장 폐지의 조건을 충족하고도 남을 정도의 불법행위다”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또 삼성 봐주기를 한다면 (정부는) 국민들로부터 버림을 받을 것”이라는 엄포성 주장도 올라왔다.

상장 폐지 여부를 결정하기에 앞서 취해진 거래정지 조치를 두고도 긍정론과 부정론이 충돌하고 있다.

교보증권의 김형렬 리서치센터 본부장은 상장 폐지 결정에 앞서 단행된 거래정지 명령이 몰고올 부정적 영향을 우려했다. 그는 “거래정지 명령이 국내 증시의 투자심리를 극도로 냉각시킬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그는 이번 사태가 단기적으로 국내 증시의 저평가 매력을 극대화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에 주목했다.

하나금융투자의 선민정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 매매거래 정지가 바이오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증선위의 결정은 불확실성 해소 차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했다.

한국거래소는 증선위의 결정이 내려지자 14일 오후 4시39분을 기해 삼바 주식에 대한 거래정지 결정을 내렸다. 이날 거래시장에서 삼바 주식의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6.7%나 오른 33만4500원(종가 기준)을 기록했다. 증선위 결정에 대한 희망적 기대 속에 ‘몰빵’을 하자는 분위기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성행한데 따른 결과였다.

이날 장을 마친 후에도 삼바주는 증선위 결정과 그 뒤를 이은 거래소 측의 즉각적인 거래정지 조치가 내려질 때까지 시간외 거래 시장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거래소는 이날부터 15일 이내(영업일 기준)에 삼바의 상장 폐지를 논할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상장 폐지 자체가 아니라 그같은 안건을 다뤄야 할지 말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토에 들어간다는 얘기다. 만약 상장 폐지 안건을 논하기로 결론이 내려지면 거래소의 기업심사위원회가 소집돼 상장 폐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 모든 과정에서 소요되는 기간만 해도 영업일 기준으로 최대 35일이다.

기업심사위가 열린다 해도 곧바로 상장 폐지 여부를 정하지 않은 채 재무구조 개선 등을 요구하면 현재의 거래정지 상태가 더 길어질 수 있다. 심사위는 삼바 측에 소정의 개선 기간을 통보한 뒤 그 기간이 종료되기를 기다렸다가 다시 회의를 열고 상장 폐지 여부를 논하게 된다. 이런 시나리오가 실현된다면 삼바에 대한 상장 폐지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주식거래 정지 상태가 마냥 길어질 수도 있다.

시간을 끌다 상장 폐지가 결정된다고 해도 삼바 측은 다시 이의 제기의 기회를 활용할 수 있다.

증시에서는 삼바의 상장 폐지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다소 우세한 듯 보인다. 지금까지의 사례들이 그같은 전망의 근거다. 거래소 역시 상장 폐지에 대한 언급 자체를 극도로 자제하고 있다. 그 후유증과 폭발성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지금으로서 예상할 수 있는 확실한 한 가지는 삼바에 대한 상장 폐지가 한 두 달 내에 결정되지는 않으리라는 것이다.

지난해 2월 주식거래 정지 조치를 당한 STX가 그해 6월 심사위로부터 1년의 개선 기간을 부여받은 뒤 올해 7월 주식 시장으로 복귀한 것도 참고할 만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