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를 침체 국면에서 벗어나게 할 호재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새로운 한주를 맞게 됐다. 하지만 이번 주엔 굵직한 국제정치적 이슈들이 주 후반부에 몰려 있어서 각 이슈의 전개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증시가 특별히 눈여겨볼 사안들은 역시 정치적 이슈들이다. 요즘 증시가 경제적 요인보다는 정치 동향에 좌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 = AP/연합뉴스]
[사진 = AP/연합뉴스]

대표적인 관심사는 북·미 고위급회담 재개 여부와 오는 30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에서 이틀간 일정으로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등이다. 국내에서는 마지막 평일인 30일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통화정책을 논의키로 돼 있어 미리부터 눈길을 끈다.

북·미 고위급회담 재개는 한반도 리스크를 감소시키는 요소로서 증시엔 호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회담 성사 여부는 오리무중이다. 미국은 이번 주 중 회담을 성사시키려 하고 있지만 북한 측이 신중 모드를 유지하며 선뜻 응하지 않고 있는 형국이다.

G20 정상회의는 미·중 무역전쟁 완화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행사 기간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양자회담을 통해 무역갈등 문제를 논의하게 된다.

회담 결과를 미리 예측할 수는 없지만 이번 주 중 양자회담 참석자들의 면면이나 세부 논의 내용 등이 구체적으로 드러날 경우 그 자체만으로도 증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양국이 이번에도 특별한 합의점을 찾지 못한다면 세계경제는 깊은 수렁에 빠져들 수 있다. G20 행사에서도 미·중 두 나라가 접점을 찾지 못하면 미국은 예고한 대로 2000억 달러어치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10%에서 25%로 올릴 가능성이 커진다.

지난 24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지는 미·중 무역전쟁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내년도 중국의 성장률이 1%포인트 떨어지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소개했다. 그 직접적인 원인은 무역전쟁에 의한 교역량 감소다.

중국의 성장률 저하는 중국에 중간재를 주로 수출해 먹고사는 우리에게 결정타가 될 수 있다.

앞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두 나라는 심각한 갈등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을 대신해 참석한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험한 감정싸움을 벌이는 바람에 이 행사에서 공동성명이 채택되지 못하는 초유의 사태까지 벌어졌다.

국내 이슈로는 주 후반에 있을 한은 금통위 회의의 기준금리 결정이 꼽힌다. 시장이 예측하기로는 한은은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가능성이 크다. 이는 다음 달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를 또 한 차례 올릴 것이란 전망과 어느 정도 맞물려 있다.

하지만 미국 내에서 내년 경제 상황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제기되는 것과 함께 기준금리 동결론이 점차 세를 불리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이번 주엔 주 후반부(한국시간 28~30일)에 애틀랜타 연은 총재와 시카고 연은 총재,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등의 연설이 예고돼 있어 그들의 입을 주시해야 할 것 같다.

만약 이들 연준 위원들이 다음 달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을 시사한다면 아시아증시는 물론 우리 증시에 호재가 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오는 29일(한국시간) FOMC 11월 회의록이 공개되는 것도 증시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다.

한편 국내 주요 증권사들이 예상하는 이번 주 코스피 등락 범위는 2030~2100(케이프투자증권), 2050~2100(하나금융투자), 2030~2120(NH투자증권), 2050~2120(ktb투자증권) 등이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