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5년여 만에 처음으로 60% 밑으로 떨어졌다. 집값보다 전셋값이 빠른 속도로 떨어지고 있는데 따른 현상이다. 전세가율이 낮아짐에 따라 ‘역전세난’, ‘깡통전세’ 등 부작용이 나타날 조짐도 엿보인다. 아울러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이른바 ‘갭투자’ 역시 쉽지 않아졌다.

3일 국민은행이 발표한 ‘11월 주택가격 월간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9.6%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이 60% 미만으로 내려간 건 2013년 9월(59.1%) 이후 5년 2개월 만에 처음이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2013년 10월 60.1%를 시작으로 60%대를 회복한 이후 2016년 5월 역대 최고인 75%까지 올랐었다. 한데 올해 1월 69.3%로 다시 60%대로 내려온 뒤 1년도 채 안 돼 50%대로 하락한 것이다.

전세가율 하락 현상은 정부의 9·13대책 여파로 최근 3주 연속 서울 아파트 매맷값이 하락세를 보이는 데 그 원인이 있다. 더구나 전셋값의 경우 6주 연속 내리막인 데다 매맷값보다 낙폭도 더 크다. 아울러 지난해와 올해 서울의 아파트 공급이 늘어 전셋값은 상대적으로 안정됐지만 부동산 이상 과열로 매매가격은 급등해 전세가율이 낮아진 측면도 있다는 것이 경제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을 구별로 살펴보면, 강남구가 48.7%로 서울 전체를 통틀어 가장 낮았고, 용산구도 49.2%로 그 뒤를 이었다. 송파구는 전월 대비 0.3%포인트 하락한 50.0%를 기록했다. 강북지역의 전세가율도 하락해 중랑구는 지난 10월 72.8%에서 11월 71.6%로, 성동구는 69.8%서 68.4%로, 도봉구는 65.7%서 64.6%로, 노원구는 62.3%에서 61.6%로 각각 떨어지는 추세를 보였다.

전세가율이 낮아짐에 따라 그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전세를 끼고 집을 산 집주인인 이른바 ‘갭투자자’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까지 상승해 이들의 이자 상환 부담이 과거보다 많이 커질 수밖에 없어서다. 더구나 갭투자자 집주인들의 경우 만기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내주기 위해 전셋값을 낮춰서라도 자신의 집을 시장에 매매로 내놓겠지만, 이는 곧 역전세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전세가율 하락에 대한 기대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이 전세 시장 상황을 지켜보기만 한다는 뜻이다. 이에 전셋집 물량은 늘지만, 그 수요가 줄어 전세 계약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얘기다. 불안 조짐은 또 있다. 수도권 등 일부 지방에선 집값이 전세 보증금 이하로 떨어지는 속칭 ‘깡통전세’가 속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박원갑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전문위원도 “대출이 강화된 상태에서 전세가율 하락, 금리 인상 등으로 한동안 매매 거래 공백이 두드러질 것"이라며 "입주 증가 등으로 전셋값이 지속해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곳에선 전세보증금반환 보험에 가입하는 등 안전장치를 마련해 두는 게 좋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