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사실상 '시간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인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평화의 모멘텀’이라는 말로 김정은 위원장의 답방 필요성에 공감했다.

청와대는 현재 김 위원장 답방과 관련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짠 뒤 그에 대비하고 있는 듯 보인다. 김 위원장의 답방이 내년으로 넘어갈 것이라는 예상도 있지만 청와대로서는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상정한 뒤 일정·숙소·의전 등과 관련한 계획을 세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래픽 = 연합]
[그래픽 = 연합뉴스]

연내 답방이 성사될 경우 그 날짜는 13~14일 또는 18~20일이 될 것이란 구체적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13~14일 답방설과 관련해서는 서울타워 예약을 받지 말라는 협조 요청이 정부에서 있었다거나, 일부 호텔이 이 기간에 한해 예약을 받지 않고 있다는 얘기 등이 근거로 제시된다. 18~20일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7주기가 17일이란 점에서 답방 시점으로 그럴 듯하게 거론된다.

청와대나 정부는 답방 날짜가 정해진 바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고 있다. 이와 함께 “김 위원장이 답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먼저이고, 지금은 한국 정부가 구체적 날짜를 거론할 단계가 아니다”라는 신중론도 나온다. 한국 정부가 김 위원장의 답방 날짜를 굳이 제시해 상대의 선택의 폭을 좁힐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의 답방이 내년 초로 미뤄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지난 5일 '정부가 18~20일 답방을 제안했다'는 내용의 보도를 부인하며 "연내든 연초든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는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중요한 것은 문 대통령도 밝혔듯이 김 위원장의 결단이다. 분단 후 북측 최고지도자의 서울 답방이 최초인 만큼 김 위원장은 효용성이나 경호 문제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할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답방 시기가 예상보다 늦춰질 수도 있다.

답방이 북·미정상회담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지금까지는 북·미정상회담 이후 남북 정상이 만나는 게 남북 모두에게 더 유리하리라는 분석이 많았다. 제재 문제에서 북·미가 어느 정도는 접점을 찾아야 남북정상회담의 의제도 풍부해질 수 있다는 게 그같은 분석의 배경이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