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규모 통신장비업체이자 중국 ‘기술 굴기’의 상징인 화훼이의 오너가 일원이 미국 사법당국의 요청으로 캐나다에서 체포됐다. 뒤늦게 알려진 희대의 돌발 사건에 미국과 유럽 및 아시아 증시는 물론 전세계 환율시장까지 출렁거렸다. 내재된 폭발성이 어느 정도일지 가늠하기조차 어려울 만큼 상징성이 큰 사건인 탓이다.

체포된 이는 화훼이 창업자인 런정페이(任正非) 최고책임자(CEO·74)의 딸 멍완저우(孟晩舟) 부회장이자 재무담당이사(CFO·46)였다. 멍 부회장은 런 CEO의 후계자감으로 인식돼온 인물이기도 하다. 멍 부회장이 캐나다 사법당국에 의해 체포된 장소는 밴쿠버였다.

[그래픽 = 연합뉴스]
[그래픽 = 연합뉴스]

체포 시점도 묘했다. 하필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마지막날 일정을 진행하고 있던 지난 1일이었다. 이 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양자 정상회담을 가진 날이었다. 이 자리에서 두 정상은 미·중 무역전쟁을 90일 동안 휴전하고 새로운 협상에 나선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로 인해 과연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법무부 등으로부터 멍 부회장 체포 계획을 사전에 보고받았는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이 사전 보고를 받았는지 여부가 미·중 무역전쟁의 향방을 좌우하는데 있어서 큰 의미를 지닐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국 측은 확실한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그 바람에 여러 가지 추측이 어지럽게 춤추고 있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멍 부회장 체포 계획을 미리부터 알고 있었다고 6일(현지시간) 실토했다. 체포 작전이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이 백악관 또는 미 행정부 내에서 공유돼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이었다.

하지만 그는 트럼프 대통령까지 그같은 계획을 알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았다. 거기에 대한 것은 자신이 알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는 또 이런 종류의 일은 자주 벌어지고 있다고 전하면서 “대통령에게 일일이 보고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화웨이 오너 일가의 주요 인물에 대한 체포가 ‘일일이 보고하지 않아도 되는’ 정도의 그렇고 그런 사건중 하나인가 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더구나 체포 시점이 미·중 양국의 갈등이 폭발 직전에 이르렀고, 그에 따라 양국 정상이 만나 타결책을 모색한 날이라는 점에서 의문은 더 증폭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의문점으로 남아 있는 것은 체포 이유다. 이에 대한 궁금증도 체포사건 발생 일주째인 7일 현재까지 확실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우선 캐나다 사법 당국이 체포 이유에 대해 함구하고 있다. 캐나다 법무부의 매클라우드 대변인은 현지 언론에 멍 부회장이 지난 1일 밴쿠버에서 체포됐다는 사실과 미국이 그의 신병 인도를 요청하고 있다는 점만 간략히 전했다. 매클라우드 대변인은 상세 정보 제공을 거부하는 이유로 “멍 부회장이 요청한 보도금지의 발효”를 거론했다.

볼턴 보좌관 또한 멍 부회장 체포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겠다”고 답해 궁금증을 키웠다.

그는 또 “우리는 오랫동안 중국이 지적재산권을 빼돌려 이용하는 것에 대해 우려해왔다”고 말하면서 “이번 체포 사건에 대한 것은 아니지만, 화웨이는 우리가 우려해온 기업 중 하나”라고 말했다. 멍 부회장 체포가 지식재산권 도용과 직접 관련된 것은 아니지만 화웨이의 지식재산권 침해 혐의에 주목해왔음을 시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발언이다.

중국 정부도 체포 이유에 대한 설명을 듣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외교부의 겅솽 대변인은 6일 정례 브리핑에서 “체포 이유를 명백히 밝히고 체포된 사람을 즉각 석방하라고 (미국과 캐나다에) 요구했다”고 말했다.

멍 부회장 체포 이유로 외신들은 대체로 미국의 대(對)이란 제재 위반을 거론했다. 로이터 통신의 보도가 대표적이다.

미국 수사당국이 그간 미국의 제재 방침을 위반해 이란 등에 통신장비 등을 판매한 혐의를 잡고 수사를 벌여온 사실이 그같은 추정의 배경이다. 이 사실이 보도되자 중국 정부는 지난 4일 미국의 일방적 제재에 반대한다며 반발했다.

미국은 중국의 또 다른 통신장비업체인 ZTE가 대이란 제재를 위반했다며 미국 기업과의 거래를 중지시킨 바 있다. ZTE는 결국 거액의 벌금을 물고서야 미국의 제재로부터 풀려났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