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올해 네 번째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기준금리는 2.25%~2.50%로 상향 조정됐다. 이번 추가 인상은 세계경제 성장 둔화와 금융시장 변동성 등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으로  한?미 간 금리 차는 최대 0.75%까지 다시 벌어졌다. 이를 놓고 우리 정부와 통화당국은 감내 가능한 수준이며 적극 대응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그래픽 = 연합뉴스]
[그래픽 = 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9일(현지시각) 연방기금금리(기준금리)를 0.25%P 올렸다. 올들어 3월과 6월, 9월에 이어 네 번째 인상이다. 미국의 이번 결정은 미?중 무역분쟁, 미국 국채금리 변화에 따른 경기 성장 둔화와 향후 금리인상 경로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은 기준금리 향배를 놓고 “추가 금리 인상의 속도에 있어 실질적인 불확실성이 있다"며 “우리는 현재 중립금리의 하단부(lower end)에 와 있다. 이에 대한 합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연준은 내년 금리인상 횟수 예상범위 중간값을 3회에서 2회로 낮췄다. 내후년 금리인상은 1회로 전망하는 등 속도조절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 확정에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는 20일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이호승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미국의 금리인상에도 국내 시중금리 상향 움직임은 감내할 수준"이라며 "추가 불안 요인에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차관은 "금리역전으로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가 있었지만, 순유입을 유지하고 있다"며, "우리 경제의 견고한 건전성과 신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다만 여전히 미?중의 경제 갈등 요소가 남아있으며 신흥국 시장의 불안 요소가 늘었다고 분석했다. 이 차관은 이에 대비하기 위해 경제중심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유지하고 비상 대응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전했다.

이번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지난달 1년 만에 기준금리를 올렸던 한국과의 금리 격차가 다시 확대됐다. 다만, 연준이 내년과 내후년 기준금리 인상 횟수 전망을 내려 잡음으로써 정부는 한·미금리 역전 폭 확대에 쫓기지 않고 국내 경기를 살필 수 있게 됐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