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개인의 삶 사이의 균형을 이르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이 최근 경향으로 자리했다. 20대 직장인·구직자 2명 중 1명은 직장을 선택할 때 워라밸을 으뜸 가치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노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최저 임금인상 등 다양한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워라밸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전국 17개 광역 시·도 중 서울의 워라밸 지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부산·대전·울산 등 종사자 및 매출액 규모가 큰 사업장이 많은 대도시들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그래픽 = 연합뉴스]
[그래픽 = 연합뉴스]

고용노동부는 전국 광역시·도의 워라밸 수준을 보여주는 '2017년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를 21일 발표했다. 각 광역시·도별 일과 생활의 시간적 균형, 성별 균형, 인식·태도 등을 지표로 환산했다. 고용부가 지역 단위로 워라밸을 평가한 것으로 이번이 처음이다.

2017년 지수 산출결과에 따르면 전국 평균은 37.1점이며, 지역별(총점 기준)로는 서울(43.1점), 부산(39.5점), 대전(38.4점)이 다른 시·도에 비해 일과 생활의 균형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남녀 육아휴직과 육아기 노동시간 단축 등을 도입한 사업장 비율이 다른 시·도와 비교해 가장 높았다. 총 근로시간(월 166.3시간)과 초과근로시간(월 5.2시간)은 광역 시·도 중 가장 짧았다. 고용부는 서울에 종사자 및 매출액 규모가 큰 사업장이 서울에 집중된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했다.

부산은 모든 영역에서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워라밸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도를 보여주는 ‘담당 조직 유무’ 지표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대전은 남녀 육아휴직 사용 사업장 비율이 높았고 일과 가족생활을 우선시하는 정도에 관한 지표에서도 상위권에 자리했다.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가운데 평균점을 넘은 곳은 8곳에 불과했다. 절반가량이 아직도 일·생활 균형을 이루는데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부는 “앞으로 올해 지수에 포함하지 않은 지표를 생산하는 등 일·생활 균형 지수가 지역의 일·생활 균형 수준을 더욱 잘 반영할 수 있도록 보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용부는 이번에 발표한 광역시·도별 일·생활 균형 지수를 △지역별 일·생활 균형 실태 파악 △일·생활 균형에 관한 관심도 제고 △지역 맞춤형 개선방안 마련 등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