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가 외국인의 순매수 증가에 힘입어 힘겨운 버티기 국면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기류는 지난주에 이어 21일 장 초반까지도 이어졌다.

지난 주 코스피 시장에서는 기관이 7513억원의 순매도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중 상당 부분을 외국인들이 소화하는 모양새가 연출됐다. 지난 한 주 동안 외국인은 5863억원을 수매수했다. 그 덕분에 지난 주 금요일 코스피지수는 전주보다 15.71포인트(0.65%) 상승한 가운데 거래를 마쳤다.

[사진 = 로이터/연합뉴스]
[사진 = 로이터/연합뉴스]

지난주 금요일 하루 코스피는 6.23포인트 상승한 가운데 거래를 마쳤다. 같은 날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불안 등의 영향으로 3대 주요지수들이 일제히 하락마감한 것과 대조적이었다. 이날 다우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나스닥지수는 각각 0.88%, 1.12%, 1.07% 하락했다. 다만, 뉴욕증시를 불안하게 만든 기술주의 변동성은 이달 중순 이후 다소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1일 코스피 시장에서는 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0.04포인트 오른 상태(2412.44)에서 거래가 시작됐다. 하지만 이후의 코스피지수는 2400대 초반에서 등락을 거듭하다 오후 들어 하락세를 보였다.

그나마 최근 국내 증시의 상대적 안정은 원/달러 환율 동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주 들어 눈에 띄게 내림세를 보이더니 이날 오전 중 1160원대 초반을 유지했다. 달러화 약세가 외국인 자금의 신흥국 주식시장 유입을 자극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번 주 국내 증시와 관련한 대체적인 전망은 보합세가 이어질 것이라는데 모아져 있다. 이런 가운데 지수보다는 업종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관심 대상은 비대면 또는 백신 관련 업종 등이다. 기술주와 관련해서는 국내 증시에서도 어느 정도 조정이 이뤄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번 한 주의 예상 가능한 국외 변수로는 세계적 뉴스메이커인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발언을 꼽을 수 있다. 파월 의장은 22~23일과 24일(이상 현지시간) 차례로 하원과 상원의 증언 무대에 선다. 그가 코로나19 대응에 관해 증언하면서 새로운 부양책 관련 발언을 내놓을지가 주요 관심사다.

새로운 방향으로 가지치기를 하고 있는 미·중 갈등도 주요 변수로 등장할 가능성이 남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틱톡과 오라클-월마트 간의 매각 관련 협상을 승인했다고 밝혔지만 이 문제를 둘러싸고도 미·중 사이에 견해차가 나타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 AF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과 두 개의 미국 기업이 미국 내에 새로운 회사인 ‘틱톡 글로벌’을 설립해 텍사스에 본사를 둠으로써 2만5000명의 고용을 창출한다고 공언했다. 텍사스가 공화당의 주요 표밭이라는 것을 의식한 과시용 발언이라 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자신의 업적으로 포장하려는 듯 새 회사는 두 개의 미국 기업들이 완전히 감독하게 된다며 “중국과는 무관한 회사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상무부도 반응을 보였다. 상무부는 틱톡 앱에 대한 다운로드 금지 조치를 1주일 연기한다고 밝혔다. 틱톡 문제를 둘러싼 두 나라 간 갈등이 봉합 국면으로 진입하는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몇몇 조건을 둘러싸고 두 나라 사이에서 의견차가 나오고 있다. 당장 틱톡의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는 성명을 통해 미국에서 나온 합의안 내용에 대해 일부 다른 주장을 내놓았다. 대표적인 것이 텍사스에 본부를 둔 교육기금에 바이트댄스가 50억 달러를 기부하게 될 것이란 미국 언론 보도다. 이 보도 내용이 사실무근이라는 것이다. 심지어 바이트댄스는 미 언론의 보도 내용에 대해 “금시초문”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바이트댄스는 ‘틱톡 글로벌’의 지배권에 대해서도 트럼프 대통령과 다른 주장을 펼쳤다. 바이트댄스는 “새 회사는 바이트댄스가 100% 지분을 가진 자회사”라며 “기업공개 전 투자를 거치면 바이트댄스의 지분율은 80%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의견차 말고도 난관은 또 남아 있다. 중국 정부가 양국 기업 간 합의를 승인할지 여부가 그것이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