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스경제 = 이선영 기자]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코나EV에서 화재가 빈발하자 불안감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불안감 호소는 코나EV 이용자들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화재 사건을 다룬 기사 댓글들에서는 가솔린 등 일반차량 이용자들의 불안감이 적지 않게 엿보인다. 심지어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전기차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도 심심찮게 등장한다. 그 정도는 아니지만 자신의 차량을 전기차 주변에 주차하지 않겠다는 이들도 다수 나타나고 않다.

이런 반응의 증가는 전기차, 특히 국산 전기차의 미래에 치명적일 수 있다. 미래의 전기차 소비자 다수가 사용도 해보기 전에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을 갖는다는 것은 그만큼 시장 규모를 축소시키는 일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현대차는 세계적 흐름에 맞춰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가솔린 차량을 전기차로 대체하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올해를 전기차 도약의 원년으로 삼은 것도 그 같은 계획의 일환이다.

[사진 = 독자 제공/연합뉴스]
[사진 = 독자 제공/연합뉴스]

이런 상황에서 이번에 새롭게 터진 코나EV 화재 사건은 특별한 의미를 지닐 수밖에 없다. 지난 23일 대구의 한 충전소에서 발생한 코나EV 화재(사진)는 국내외 사례를 통틀어 벌써 열다섯 번째다. 더욱 심각한 점은 이번에 화재 사고를 낸 전기차가 이미 리콜 서비스를 받은 차량이라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코나EV의 정확한 화재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일찍이 현대차는 물론 국토교통부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이 원인 규명에 나섰지만 속 시원한 결론은 나오지 않고 있다.

이런 와중에 배터리 제조사와 자동차회사 간의 은근한 신경전도 나타나고 있다. 배터리 자체의 문제인지 운영체계 상의 문제인지를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신경전 기류는 배터리 제조사 간에도 형성되고 있다. 특정 배터리 제조사 제품이 코나EV 화재와 밀접히 연관돼 있다는 점이 그 배경이다.

지난해 국과수는 전기차 화재 원인 조사에 나섰으나 명쾌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은 최소 단위인 배터리 셀, 셀의 1차 묶음 단위인 모듈, 그리고 모듈의 집합체인 팩, 이를 연결하는 각종 전기장치 등으로 복잡하게 이뤄져 있다.

정확한 원인이 무엇이든 코나EV 화재가 빈발하자 현대차는 대대적으로 리콜을 실시했다. 그 기본 방침은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업데이트한 뒤 이상이 있을 경우 배터리를 교체해준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런 방침은 불안감에 휩싸인 소비자들의 새로운 불만을 야기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정확한 화재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는 점 때문에 나날이 커져 가고 있다. 이 정도면 소비자 입장에서 볼 때 코나EV 화재는 해결난망이란 생각을 갖기 십상이다. 현대차로서는 상상조차 하기 싫은 상황이겠지만 현실은 이미 그런 쪽으로 흘러가는 듯 보인다.

진짜 큰 문제는 이게 다가 아니라는 것이다. 더 무서운 사실은 잠재적 전기차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져가고 있다는 점이다. 불안감의 배경엔 ‘원인 불명’이 자리하고 있다. 화재 원인을 모르니 언제 어떤 상황에서 불똥이 자신에게 튈지 모르고, 그러다 보니 전기차 근처에 접근하는 것조차 꺼려하는 분위기가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이어진다면 전기차의 아파트 지하주차장 진입을 원천봉쇄하려는 집단행동이 일어날 수도 있다.

지금 현대차가 사활을 걸고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는 코나EV 화재 원인 규명이다. 전기차 도약의 원년 선언은 오히려 그 다음의 일이 아닌가 싶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