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스경제 = 김기영 기자] 지난주 한국과 미국 증시는 고점 부담에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 기업실적도 공히 양호한 편이었지만 3분기 이후 하향 곡선을 그릴지 모른다는 전망이 나온 탓이다. 미국 증시에서는 지난 주 막판 대형 기술주 관련 회사들이 실적 발표를 끝내면서 상승 모멘텀이 약화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지난 30일 뉴욕증시에서는 주요지수들이 일제히 하락했다. 이래저래 투자를 망설이게 하는 분위기가 국내외 증시를 지배했다고 할 수 있다. 지난주 금요일 코스피는 전주보다 50포인트 남짓 빠진 3202.32로 한 주 거래를 마쳤다.

최근 국내외 증시가 가장 관심을 쏟는 큰 주제는 미국의 테이퍼링(중앙은행의 자산 매입 축소)이다. 해묵은 주제이지만 테이퍼링은 통화정책 기조 변화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사진 = AP/연합뉴스]
[사진 = AP/연합뉴스]

테이퍼링 시작 시점을 가늠할 가장 중요한 요소는 미국의 고용지표다. 장기간 이어진 물가 상승 흐름에 대해서는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거듭 인내할 것이란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하지만 고용지표까지 강한 호조세를 보인다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이 점을 부인하지 않고 있다. 파월 의장은 최근 기자들에게 테이퍼링에 나서기 전에 강한 고용보고서를 보고 싶다고 말했다. 현 상황에서 고용지표가 크게 개선된다면 정책 변화를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한 발언이었다.

이로 인해 증시에서도 고용지표에 관심을 쏟는 분위기가 전보다 강해졌다. 당장의 관심사는 4일(이하 현지시각) 발표될 7월 ADP고용보고서다. ADP보고서는 매월 첫째 주 금요일 공개되는 미국 노동통계국 자료보다 이틀 앞서 발표된다. 민간 보고서이지만 신뢰를 확보하고 있고 정부보다 한 발 앞서 월별 고용동향을 전하는 만큼 시장의 주목도가 높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문가 분석을 취합해 전망한 바에 따르면 7월 비농업부문의 고용 증가폭은 78만8000명이다. 전달의 증가폭은 85만명이었다. 만약 7월 고용 증가폭이 이 같은 전망을 넘어선다면 연준이 테이퍼링을 본격적으로 고려할 가능성이 커진다. 전문가들은 구체적 기준점을 100만명 정도로 보고 있다. 이 정도 또는 그 이상 수준의 신규 고용이 다음 달까지 이어진다면 연준의 긴축 전환 시간표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경우 증시에서는 다시 한 번 경계 분위기가 나타날 수 있다.

반면 고용이 지나치게 부진해도 증시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미국 경제의 회복 속도가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을 지배할 수 있어서이다. 그렇지 않아도 미국에서는 지금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창궐과 국민들의 백신 기피 등으로 인해 일일 확진자수가 다시 10만을 넘어서고 있다. 감염병 사태가 더 악화된다면 봉쇄조치가 강화될 가능성이 커진다.

[그래픽 = 연합뉴스]
[그래픽 = 연합뉴스]

감염병 사태는 국내 증시에도 악재가 될 수 있다. 다만, 국내에서의 확진자 증가세는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감염병 재유행이 경제 회복에 결정적 장애가 되진 않을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7월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29.6%나 증가하며 월간 기록으로 역대 최고치(554억4000만 달러)를 달성했다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발표가 나왔다. 이는 증시 변동성 축소에 대한 기대를 키울만한 사안이라 할 수 있다.

이번 주에 관심을 둘 기타 이슈로는 미국의 7월 마킷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와 7월 마킷 서비스업 PMI 등이 거론된다. 두 지수는 2일과 4일 차례로 발표된다. 이들 지표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하반기 미국 경제에 대한 전망이 달라질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2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16.10포인트(0.50%) 높은 3218.42로 거래를 시작한 뒤 정오 직전 잠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오후 들어 다시 상승 전환했다. 이후 코스피는 전반적인 상승 흐름을 이어갔고 결국 전장보다 20.72포인트(0.65%) 오른 3223.04포인트에 장을 마감했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