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초미의 관심사가 된 덕분에 요즘 최고의 뉴스메이커로 떠오른 이가 한국은행 이주열 총재다. 때가 때인 만큼 그의 말 한마디 한마디는 그대로 뉴스가 되고 있다. 언론은 그가 하는 발언 자체는 물론이려니와 행간의 의미까지 놓치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사실 이주열 총재나 한은은 금리인상 예고 깜빡이를 수차례에 걸쳐 켠 바 있다.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연이어 금리인상 소수의견이 제시됐고, 지난 8월 31일 금통위 회의 직후 이주열 총재는 ‘금융불균형 정도의 심화’를 거론하면서 “금융안정에 유의해야 할 필요성이 더 높아졌다”고 강조했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중앙은행 총재로서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해 맥락을 살펴야 하지만, 이 말만 떼어놓고 보면 금리인상을 시사한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었다.

이것 말고도 한은은 최근 금통위에 보고한 금융안정상황 자료를 통해 금융안정지수가 주의 단계에 접근했음을 알렸다. 금융불균형 정도가 심화되고 있으니 이를 기준금리 결정에 참고하라는 것이었다.

금융안정지수는 금융시스템 전반의 안정성을 수치로 표현한 것이다. 0~100 사이에서 산출되며 숫자가 낮을수록 상황이 안정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지수 수치에 따라 정상, 주의, 위기 단계로 구분된다. 지수를 산출하는 근거 자료는 금융 및 6개 실물 부문의 20개 지표들이다. 이중엔 대출상환 연체율과 물가상승률 등이 포함된다.

금융불균형은 한번 불이 붙으면 급격히 심화되는 속성을 지닌다. 금융안정을 위협하는 요인은 가계 및 자영업자 대출 증가, 부동산가격 급등, 부실기업의 장기 연명 등이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넘어설 때 금융불균형의 정도는 더욱 심화되기 마련이다.

이주열 총재가 말하는 “금융불균형 정도의 심화”, “금융불균형 누증” 등은 바로 이같은 상황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가 강조한 ‘금융안정’ 속엔 부채 증가 속도를 억제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총재의 말을 종합하면, 가계부채와 자영업자 부채 등이 위험 수위에 이르렀고 부동산 가격이 이상 급등 현상을 보이고 있는 등의 제반 상황을 고려해 기준금리 인상을 적극 검토할 시점이 됐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금융불균형의 심각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는 민간 연구소에서도 이미 제기된 바 있다. 최근 하나금융연구소는 “금융불균형 탓에 한국은행이 연내에 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 이 연구소의 전망은 금리인상의 이유로 ‘금융불균형’을 지목했다는 점에서 특히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한은이 이달 열릴 금통위에서 곧바로 금리인상을 단행할지는 미지수다. 이 총재가 말하는 ‘점진적 해소’를 특정 시점과 연결시키는데는 무리가 따르기 때문이다. 다만, 한은 금통위가 연내에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데는 별다른 이견이 없는 듯 보인다.

한은은 이달 18일에 이어 다음달에 올해의 마지막 금통위를 연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