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114는 18일 내놓은 ‘2019년도 아파트 시장 전망’에서 “내년에는 9·13 대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돼 수요 위축이 심화하고 금리 인상, 주식시장 불안, 경제성장률 둔화, 가계대출 부담 등이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치면서 아파트 값이 하향 조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파트 값 하락에 따른 충격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투기지역이나 투기과열지구로 묶인 서울과 분당·평촌·광명·과천 등 일부 수도권은 올해 폭등한 가격에 대한 피로감이 쌓여 소폭 하향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다만, 다주택자의 임대사업자 등록과 양도소득세 중과 등으로 매물 잠김 현상이 계속되는 데다가 재건축 관련 규제로 서울을 비롯해 수요자가 선호하는 지역의 아파트 공급이 충분치 않아 하락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반면에 수도권을 제외한 기타지역은 일부 개발 호재가 있는 곳을 빼면 공급과잉 위험과 지역 기반산업의 침체가 맞물리면서 하락 폭이 커지겠다고 예상했다.

전세 시장은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겠지만, 올해보다는 전셋값 상승 폭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과거 사례에 비춰볼 때 공급물량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매매시장이 침체되는 경우 수요자들은 아파트값 하락에 대비해 전세 시장에 머무르기 때문이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재건축·재개발 사업장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이주 수요에 따른 국지적인 전셋값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청약제도가 무주택자에게 유리해지면서 분양을 기대하는 수요가 전세 재계약을 하는 것도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상승 폭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다.

수도권과 달리 지방 아파트 전세 시장은 기존에 쌓여 있던 전세 물량에 신규 공급되는 아파트가 더해져 공급과잉에 따른 전셋값 하락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2016년 이후 하락장이 이어지고 있는 충청권과 경상권은 역전세난 우려가 제기됐다.

올해 아파트 매매가격은 8.67% 상승하며 2006년 이후 1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8.11% 변동률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경기도는 분당, 판교, 광교, 광명, 과천, 용인 등 서울과의 접근성이 좋고 새 아파트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강세를 보이며 6.68% 상승했다.

전세 시장은 전국 변동률이 0.15%에 그치며 2008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근 2∼3년간 분양시장이 호황기를 보내면서 약 45만 가구의 신규 아파트가 공급돼 전세 시장에 숨통이 틔었기 때문이다. 또 전세수요가 분양시장과 매매시장으로 분산되며 전셋값 상승 폭을 줄였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