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개발계획이 발표되고 시간이 흐르면서 후보지와 이웃 지역, 앞서 조성된 2기 신도시 지역 주민들의 반응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각자의 이해가 다른지라 같은 지역에서의 반응도 제각각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9일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장들을 대거 동원한 가운데 3기 신도기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내용도 획기적이었다. 서울 경계에서 평균 2㎞ 떨어진 세 곳에 3기 신도시를 건설하고 동시에 과천에 중규모의 택지를 개발해 이들 네 곳에서만 12만2000가구의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것이었다. 신도시 후보지는 인천 계양과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이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3기 신도시 후보지들은 지도를 펼쳐놓고 보면 서울 도심에서 멀어보이고, 그 거리도 크게 다른 듯 느껴진다. 그렇지만 서울 경계에서의 거리는 대체로 2㎞가량이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서울의 경계 자체가 워낙 들쭉날쭉하다보니 서울 도심에서의 거리는 저마다 다르다는 것이다.

3기 신도기 개발계획에 대한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응은 기대 반, 우려 반이다. 낙후돼 있던 지역이 개발되면 교통망과 생활편의 시설이 갖춰질 것이란 기대가 있는가 하면, 별다른 관심도 끌지 못한 채 입주 물량만 늘려 지역 전체의 집값을 떨어뜨릴 것이란 우려도 있다.

지역 주민들의 반응은 사업 추진의 성공 여부를 가를 주요 사안이다. 정부가 3기 신도시 후보지를 발표하면서 과천을 덤으로 끼워넣은 것도 부정적 반응을 의식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왔다.

남양주의 한 중개업소 운영자는 “신도시 개발이 되면 교통망이 개선되고 각종 시설이 보완되면서 인구가 늘고 집값도 올라가게 되므로 주민들의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반면 같은 지역의 또 다른 중개업소 대표는 “아직 별다른 반응은 없다”며 “일부 주민들은 보상 문제를 언급하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3기 신도시 개발계획을 발표하자마자 곧바로 해당 지역을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투기를 막고 토지 수용시 보상 비용도 줄이려는 게 목적이다. 이에 따라 신도시 후보지에서 토지를 구입하려는 사람은 해당 지자체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

남양주 왕숙에 6만6000가구가 들어서면 바로 이웃에 조성된 다산·별내신도시를 포함한 지역 전체의 집값이 하락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벌써부터 왕숙 신도시에서 미분양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인천 계양이나 하남 교산 등 지역의 주민들도 비슷한 이유로 기대와 우려를 표하고 있다.

2기 신도시 주민들의 반발도 조금씩 구체화되고 있다. 아직 기본 인프라조차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여건이 좋은 입지에 3기 신도시가 들어서면 기존 신도시의 인기가 더욱 시들해질 수 있어서이다. 2003년 지정된 2기 신도시는 판교와 화성동탄2, 파주 운정, 인천 청라, 김포 장기, 평택 고덕 등이다.

이들 지역 주민들은 아직도 광역 교통망 미비로 인해 서울로의 왕래에 불편을 겪고 있다고 하소연한다. 그런 마당에 2기 신도시 개발계획이 나왔으니 달가울 리 없는 것이다.

인천 계양 인근의 김포신도시, 청라국제도시 등의 주민들은 당장 자신들의 거주지 집값이 하락할 것이란 우려를 노골화하고 있다. 그러지 않아도 입주 물량이 많아 집값, 전셋값이 정체를 보이고 있는데 입지가 더 좋은 이웃에 1만7000가구의 신도시가 들어서면 어떻게 되겠느냐는 것이다. 김포신도시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주민들이 당황스러워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들의 불만은 정부가 2기 신도시 개발계획을 발표하면서 해당 지역을 자족도시로 개발하는 한편 수도권 광역철도망을 확충해 서울에 30분이면 도달할 수 있다고 홍보를 강하게 할수록 커지고 있다.

신도시 리스트에 들지 않았지만 중규모 택지개발 후보지로 발표된 과천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한 중개업소 대표는 “변변한 기업도 없는 소규모 도시에 7000가구를 더 짓는 건 기존 주민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과천지역 주민들로 이뤄진 ‘과천 그린벨트 해제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이에 앞서 9·21 공급대책이 발표됐을 때부터 집회를 열고 “과천에 신규택지를 새로 지정하는 것은 무분별한 난개발”이라고 반발했었다.

이같은 반발을 해소하기 위해 전문가들이 주로 제시하는 해법은 교통 인프라 조기 확충이다. 이는 3기 신도시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가장 중요한 열쇠다. 정부는 2기 신도기 개발계획을 발표할 때도 교통 인프라 확충을 약속했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그 약속은 아직 이행되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