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간편결제를 통해 소상공인의 결제수수료 부담을 0%까지 줄인 서울시의 ‘제로페이’ 서비스가 도입된지 한 달을 맞았다. 하지만 서울시는 도입 초기라는 이유로 이용건수와 금액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17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날 현재 제로페이 가입 신청을 한 소상공인 사업체는 5만4000개로 서울 전체 소상공인 사업체(66만개)의 8%를 차지했다. 지난 달 20일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당시(2만∼3만개)보다 배가량 늘어난 규모다.

제로페이는 중간 단계 없이 소비자가 소상공인 계좌로 직접 대금을 이체하는 방식이다. 소비자가 네이버페이·페이코 등 간편결제 앱 4개와 15개 은행 앱을 이용해 매장에 비치된 QR코드를 인식하면 자동으로 계좌이체가 이뤄진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이용 실적에 대해서는 서울시가 시기상조를 이유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참여 기업들도 서울시 등 관계 기관과 협의해 개별 실적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며 입을 다물고 있다.

서울시 측은 “정식도 아닌 시범 서비스 한 달 만에 유의미한 데이터를 얻기는 힘들어 당분간 실적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며 “시범 서비스의 주목적은 실적 쌓기가 아니라 기술과 서비스 보완”이라고 강조했다.

이용 실적은 네이버페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기대에 미치지 못한 초반 반응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 업체 간 비교가 서비스 정착 노력에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한 참여 업체 측은 “업체 간 실적 차이가 있어서 서로 공개를 꺼리는 분위기”라며 “도입 초기이기도 하고 가맹점 자체가 적다 보니 서울시도 본사업 전에 성과를 공개하기 부담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3월 제로페이가 정식 출시를 앞둔 가운데 ‘시정 4개년 계획’에 따르면 서울시는 제로페이 이용액을 올해 8조5300억원에서 2020년 17조601억원, 2021년 28조4336억원, 2022년 42조6504억원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시는 목표 달성을 위해 이용자 및 사용처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서울시는 시금고인 신한은행과 함께 시 직원들이 쓰는 법인용 제로페이 출시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기존 법인카드 대신 법인용 제로페이 앱을 만들어 직원들이 업무추진비나 사무관리비 지출에 쓰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결제처들도 제로페이를 사용할 가능성이 커지고 이용량이 늘어나는 선순환이 일어난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공무원 복지포인트 일부를 제로페이로 결제하도록 유도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현재 공무원 복지포인트는 전통시장 상품권으로 지급되고 있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