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엔 전국의 집값과 전셋값이 동반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주택시장의 나홀로 성장이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게 그같은 전망의 배경이다.

내년엔 건설수주 역시 하락세를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망의 주체는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었다. 연구원은 7일 개최한 ‘2019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허윤경 건산연 연구위원은 내년 전국의 주택시장 전망과 관련, 집값은 1.1%, 전셋값은 1.5%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지역별 집값 하락률 전망치는 수도권이 0.2%, 지방이 2.0%였다.

건산연이 내년에 주택시장이 침체될 것으로 전망한 배경은 글로벌 경기 침체였다. 주요 선진국의 통화정책 등 거시경제 여건을 종합해볼 때 주택시장만이 성장세를 이어가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었다.

허 연구위원은 “내년에는 거시경제 상황이 자산시장을 압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세계 각국에서 양적완화가 끝나고 통화정책이 정상화되면서 런던과 시드니, 밴쿠버, 뉴욕 등 글로벌 선도 도시의 주택가격이 지난 8월 이후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섰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그는 서울은 상대적 강세를 이어가겠지만 거시경제 환경 악화에서 비롯된 어려움을 피해가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풀어 설명하면 각국의 통화정책이 기준금리 인상 쪽으로 기울어감에 따라 주택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설 것이란 얘기다.

지방의 내년 주택가격과 관련, 건산연은 준공 물량이 줄어들긴 하지만 누적된 물량이 많은데다 거시경제 부진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올해보다 하락폭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허 연구위원은 하락장에선 다주택자와 투자자들이 저가 매물을 흡수해야 하는데 정부의 촘촘한 억제책으로 인해 그게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내년엔 집값 하락폭이 예상보다 더 커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서울의 경우 고소득층과 자산가들이 자금력을 바탕으로 고가 주택을 장기간 보유하는 쪽을 선택하면서 집값을 떠받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세시장은 전국적으로 입주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하향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토교통부 집계에 따르면 내년도 서울의 주택 준공 물량은 올해보다 조금 많은 8만여 가구다.

다만, 전셋값 하락세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됐다. 전반적으로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하면서 그 반작용으로 전세 수요가 일정 정도 늘어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내년엔 건설시장 및 건설투자도 다같이 위축될 것으로 전망됐다. 건산연은 내년 건설시장 수주물량이 135조5000억원에 그침으로써 2014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 역시 주택 및 건축 부문의 위축으로 전년 대비 2.7%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