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스경제 = 김기영 기자] 국내 취업자 수가 9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경기 둔화와 인구 감소 등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2월 취업자 수 감소엔 지난 해 같은 기간 중 취업자 수가 대폭 늘어났던데 따른 기저효과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의 전체 취업자 수는 2771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월과 비교하면 31만2000명 많아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비교 기준에 따라 15~64세를 대상으로 산출한 고용률은 68.0%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에 비해 0.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전년 동기 대비 0.4%포인트 하락한 45.5%를 나타냈다.

취업자 증가폭과 고용률은 제각각 나름대로의 의미를 나타내는 지표들이다. 고용 증가폭이 경제규모의 증가와 밀접히 연관돼 있는 지표라면, 고용률은 인구 변화와 깊게 관련된 지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연령대별 취업 현황 등을 살펴볼 때는 이 두 가지를 동시에 고려해야 정확한 통계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취업자 증가폭이 단순히 1년 전보다 증가한 취업자 수를 나타낸 수치인 것과 달리 고용률은 취업자 수를 1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누어 추출한 비율이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예를 들어 2월 고용동향 집계 결과를 보면, 40대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7만7000명이나 감소한 것으로 나와 있다. 하지만 이는 인구 변화 요인이 배제된 수치이므로 그 자체만으로는 정확한 통계적 의미를 찾아내기 어렵다.

이때 동시에 살펴봐야 할 것이 40대 고용률이다. 2월 고용동향 조사 결과 40대 고용률은 77.6%로 1년 전과 똑같다. 40대 취업자 수가 크게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동일 연령대 인구가 줄어든 사실과 연결돼 있다. 지난해 2월 당시 국내 40대 인구는 811만6000명이었다. 이중 취업한 인구는 629만7000명이었다. 올해 2월의 40대 인구와 동일 연령대 취업자 수는 각각 801만2000명과 622만명으로 집계됐다. 동일 연령대의 인구 수와 취업자 수가 나란히 감소함에 따라 고용률은 동일한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40대 취업자 감소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경제활동의 주축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지적이 일 때마다 정부는 고용률을 동시에 봐달라고 주문하곤 했다. 인구 변화의 흐름을 고려하지 않은 채 산출된 취업자 증가폭만 강조하는 것에 대한 불만의 표시였다.

하지만 그 점을 감안하더라도 2월 고용동향을 보면 청년층 고용이 심각한 위기에 처했음을 알게 된다. 집계 결과 지난달의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2만5000명이나 감소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인구 변화를 고려한 청년층 고용률이 전년보다 0.4%포인트 떨어져 45.5%에 머물렀다는 점이었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취업자 31만2000명 증가로 요약되는 2월 고용동향에 내포된 또 다른 문제는 60세 미만 인구의 취업자 수 감소가 심상치 않다는 점이다. 연령대별 취업동향을 보면 2월 취업자 증가폭은 60세 이상에서 41만3000명을 기록했다. 해당 연령대에서의 고용률도 1년 전보다 1.5%포인트 늘어난 42.8%를 나타냈다. 50세 이상으로 범위를 넓혀 계산하면 해당 연령대의 취업자 증가폭은 49만명으로 늘어난다. 거꾸로 읽으면 취업자 수가 60세 미만에서는 10만1000명, 50세 미만에서는 17만8000명 감소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연령대를 청년층과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으로 구분했을 때 취업자 수가 증가한 연령대는 30대(2만4000명)와 50대(7만7000명), 60세 이상(41만3000명) 등이었다. 반면 청년층(-12만5000명)과 40대(-7만7000명)에서는 취업자 수가 크게 감소했다.

사회생활을 막 시작하는 인구가 몰린 20~29세 연령대에서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9만4000명 감소했고, 고용률이 0.3%포인트 증가하는데 그친 점도 문제라 할 수 있다. 25~29세의 취업자 증가폭과 고용률 증가폭은 각각 -2만1000명과 1.0%포인트였다.

전체 취업자 수는 지난달까지 24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그 폭은 9개월 연속 둔화하는 흐름을 보였다. 지난 2년여에 걸쳐 정점을 찍었던 작년 6월(84만1000명 증가)에 비하면 증가폭이 크게 둔화됐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2월 고용동향과 관련,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김시동 인력정책과장은 경기 둔화 외에도 생산연령 인구 감소와 기저효과 등을 지난달 고용 증가폭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취업자 증가폭의 전반적 축소와 고령 취업자 증가폭의 상대적 확대는 특별한 변수가 나타나지 않는 한 저출산·고령화 흐름을 타고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우리의 잠재성장률을 갉아먹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대표적 분야인 제조업에서 취업자가 2만7000명 감소한 점도 우려를 키웠다. 제조업 취업자 감소는 전달(-3만5000명)을 포함해 두 달째 이어졌다. 반도체 수출의 심각한 부진이 제조업 부문 취업자 감소를 주도한 것으로 분석된다.

도소매업(-7만6000명)과 운수·창고업, 농림어업(이상 -4만4000명) 등에서도 취업자 수가 줄었다. 이를 만회해준 분야는 보건·복지업(19만2000명)과 숙박·음식점업(17만6000명) 등이었다.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의 취업자 증가 현상은 10개월째 지속됐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