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SK텔레콤 제공]
[사진 = SK텔레콤 제공]

◇ SKT, AI 서버 액침냉각으로 전력 사용 37% 절감 확인

SK텔레콤이 차세대 열관리 방식인 서버 액침냉각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 자체 테스트 결과 기존 공기냉각 대비 전력량 37%를 절감했다.

14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생성형 AI 경쟁에 따라 고전력 GPU 서버 구축이 급증하며 GPU 서버의 냉방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됐다. SK텔레콤은 액침냉각 전문회사인 미국 GRC의 설비와 다양한 제조사의 테스트용 서버, SK엔무브의 특수냉각유로 자사 인천사옥에 액침냉각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난 6월부터 4개월간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결과, 기존 공기냉각 대비 냉방전력의 93%, 서버전력에서 10% 이상이 절감되어 총 전력 37%가 절감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액침냉각 시스템은 차가운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팬을 통해 냉각하는 기존 공랭식 시스템과 달리 전기는 통하지 않고 열전도는 높은 특수 냉각유에 서버를 직접 담가 냉각하는 유냉(油冷)식 시스템이다. 공기보다 열전도가 높은 특수 냉각유를 사용해 직접 서버 장비의 열을 흡수하고, 공기냉각에 필요했던 서버의 송풍기를 제거함으로써 냉각뿐 아니라 서버의 전력 절감도 가능하다.

공기냉각 방식과 액침냉각 방식의 서버의 성능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성능에도 차이가 없었으며, 액침냉각에서 서버 전력 절감으로 인한 전성비(전력 대비 성능 비율)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이 SK텔레콤의 설명이다.

SK텔레콤은 자사 AI서비스를 위한 전용 데이터센터를 오는 11월 인천사옥에 구축할 예정이며, 액침냉각 시스템은 내년 중 인천사옥에 본격 적용할 예정이다. 또한 데이터센터 모니터링 솔루션을 SK엔무브의 열관리 사업과 결합해 액침냉각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향후 액침냉각 기술 보급을 주도해 데이터센터 전력 절감을 통한 탄소중립 달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텔레콤 조동환 부사장은 “전력소비가 높은 GPU 서버 도입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번 액침냉각 도입을 통해 상당한 수준의 에너지 비용 절감이 기대된다”며 “향후 해당 기술 보급 확산을 통해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사진 = KT 제공]
[사진 = KT 제공]

◇ KT, 위성통신 도심항공교통 적용에 대한 이슈 리포트 발간

KT가 ‘위성통신의 도심항공교통(UAM) 적용’을 주제로 한 6G 포럼 이슈리포트를 공개했다고 14일 밝혔다.

6G 포럼은 차세대 이동통신의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고자 만들어진 민관 합동 포럼이다. KT는 6G 포럼 산하의 차세대 모빌리티위원회에서 활동한다. KT는 이번 이슈리포트에서 2025년 상용화를 앞둔 UAM에 위성통신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K-UAM 및 KT 컨소시엄 동향 ▲위성통신 동향 및 기술 ▲UAM을 위한 위성통신 기술에 관한 내용을 다뤘다.

위성통신은 5G 항공망과 함께 UAM 기체를 관제하고 승객에게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때 필요한 기술로 꼽힌다. 높은 비용과 전송 속도의 문제로 기존에는 항공기와 선박 중심으로 활용됐으나, 최근에는 스마트폰에도 위성통신 기술이 적용되는 등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KT는 현재 개발 중인 5G와 위성통신을 결합한 ‘5G-위성 멀티커넥티비티’ 기술을 소개했다. 5G 통신망과 위성 간 데이터 전달 채널을 이중화 구조로 만들어 통신 장애가 발생해도 서비스를 지속하고,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기술로 UAM에 끊김이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KT는 2024년 상반기에 참여 예정인 ‘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에서 5G 항공망 기술과 5G-위성 멀티커넥티비티 기술을 활용해 UAM의 운항 과정에서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KT 융합기술원 인프라DX연구소장 이종식 상무는 “향후 6G를 비롯해 위성통신 분야의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계속해서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사진 = LG유플러스 제공]
[사진 = LG유플러스 제공]

◇ LG유플러스, 한전과 친환경 재생에너지 전력 중개 사업 추진

LG유플러스가 지난 9일 한국전력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재생에너지 전력 중개 사업을 준비한다고 14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 8월 ‘전력시장 운영규칙 개정안’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전력 입찰 시장에 편입했다. 통합발전소(VPP)는 전력시장 구조 개편 및 탄소중립 흐름 속에서 주목받았다. VPP는 분산된 발전 설비를 가상의 공간에 모아 하나의 발전소처럼 관리하는 일종의 통합 플랫폼이다.

국내에서도 이동통신사 및 다수 에너지 기업들이 VPP 사업을 준비 중이다. 특히 이동통신사의 경우 전국 단위 유무선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 분산된 발전 설비를 연결해야 하는 VPP 사업에 유리하다.

LG유플러스는 VPP 사업을 성장 가능성이 높은 미래 시장으로 판단하고, 본격적으로 전력 자원을 모집한다는 방침이다. 오랜 B2B 사업을 통해 확보한 영업네트워크와 통합 관제 플랫폼 솔루션 노하우, 정산·빌링 서비스에 대한 경험으로 VPP 사업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LG유플러스는 한국전력과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기술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전력은 AI 기반의 태양광 발전량 예측정보를 LG유플러스에 제공하고, LG유플러스는 한국전력이 제공하는 발전량 예측정보를 활용하여 입찰 시장에 참여한다는 것이 골자다.

한국전력은 2021년 정확도 95% 이상의 발전량 예측 알고리즘을 자체 개발하여 발전량 예측시장 기술지원에 활용하고 있다. 양사는 ▲VPP 시장에서 파트너십 구축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기술 고도화 ▲발전 사업자들의 전력시장 참여 확대를 이끌어 신재생에너지 확산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LG유플러스 권근섭 스마트팩토리사업담당은 “LG유플러스의 사업역량 및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정확도를 제공하는 한국전력의 태양광 발전량 예측기술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며 “향후 VPP 사업을 통한 전력 신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