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기업이 은행에 맡겨둔 자신의 예금을 좀처럼 인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9월 예금은행의 요구불예금회전율은 16.4회였다. 이는 16.3회를 기록한 1987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요구불예금회전율은 예금 지급액을 예금 잔액으로 나눈 값인데, 예금회전율이 낮을수록 가계·기업이 은행서 돈을 인출해 쓰지 않고 예치한 채로 두는 경우가 많다는 뜻이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 같은 예금회전율은 1990년대까지 상승해 1999년에는 100회에 육박했다가 2000년대 들어서 추세적으로 하락했다. 지난해부터 20회 넘는 것도 드문 일이 됐다.

올해 2월 17.9회로 떨어진 예금회전율은 3∼4월 20.4회로 올랐다가 7월 19.7회, 8월 18.5회에서 9월 들어 뚝 떨어졌다. 분기 기준으로도 예금회전율은 올해 3분기 18.2회로, 1987년 1분기(17.9회) 이후 가장 낮았다는 점이 눈에 띈다. 예금회전율이 31년 8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한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예금회전율이 떨어지고 있는 추세는 ‘경제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투자 축소’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진단한다. 요구불예금의 경우 해당 예금주가 필요할 때 적은 예금도 쉽게 꺼내 쓸 수 있건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얘기다.

실제 최근에는 미국 금리 인상과 미·중 무역분쟁 그리고 글로벌 경제 성장세 둔화에다 한은의 금리 인상 조짐, 고용 부진, 반도체 경기 전망 불투명 등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얽혀 수익률을 보장할만한 투자처를 찾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예금회전율이 떨어진 데는 추석 연휴라는 일시적인 요인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은 관계자는 “매년 추석 낀 달에는 예금회전율이 떨어졌다”며 “은행 휴업일이 늘고 예금 지급이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더구나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따라 부동산 거래가 줄어들거나 증시 불안으로 인해 주식 투자마저 움츠러들 경우 예금회전율은 더 떨어질 수도 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도 “부동산 거래가 둔화하거나 투자가 위축되면 대기 자금이 늘어나게 돼 예금회전율이 떨어지게 된다”며 “풀린 돈이 과거만큼 경기 활성화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