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해도 팔리지 않는 제품이 늘면서 제조업 출하 대비 재고 비율(재고율)이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1일 국제금융센터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제조업 재고율은 116.0%의 수치를 보였다. 122.9%를 기록한 1998년 9월 이후 약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제조업 재고율은 월말 재고(생산분 중 팔리지 않고 남은 것)를 월중 출하(생산분 중 시장에 내다 판 것)로 나눈 값이다.

제조업 재고율의 상승세는 지난해 말부터 시작됐다. 지난해 10월 106.9%에서 11월 111.7%로 올랐고, 12월에는 4.3%포인트 더 증가했다.

[그래픽 = 연합뉴스TV 제공 / 연합뉴스]
[그래픽 = 연합뉴스TV 제공 / 연합뉴스]

일반적으로 재고율 상승은 경기가 꺾일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제품을 생산했지만, 수요가 뒷받침되지 못해 팔리지 않은 물건이 쌓인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고율은 경기가 좋을 때 오르기도 한다.

재고율이 지속해서 상승하면 제조업체는 공장 가동을 조절한다. 결국 생산력이 떨어지면서 경기는 더욱 위축된다. 

실제로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서서히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2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2.7%로 2개월째 하락해 8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세부업종별로 보면 지난해 12월 자동차 제조업 출하가 한 달 전보다 7.1% 줄고, 재고가 6.5% 늘었다. 반도체 제조업 출하도 5.1% 줄고, 재고는 3.8% 늘었다. 철강 등의 1차 금속 출하 또한 2.5% 감소하고, 재고는 3.2% 늘었다. 이처럼 출하 감소, 재고 증가는 모두 재고율 상승으로 이어지는 요인이 되고 있다.

노무라, 골드만삭스 등 글로벌 투자은행(IB) 전문가들은 재고율 상승이 경기 둔화로 이어지는 원인이 될 것이라고 진단을 내놓고 있다. 노무라는 향후 재고 부담과 기업 심리 약화, 수출 둔화 등으로 생산이 위축될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는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이 예상치를 넘어섰지만, 이번 광공업 지표는 성장의 가속도가 올해 1분기까지 이어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과 부합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