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을 뜨겁게 달궜던 BMW 차량 연쇄화재의 배후에 숨은 진실은 무엇일까? 제조회사 측이 차량 결함을 알고 있었으면서 국내에서 리콜 조치도 취하지 않은 채 판매에만 열을 올린 게 사실이었을까? 아니면 뒤늦게 결함을 발견하고 전면 리콜조치에 나섰던 것일까?

이에 대한 궁금증이 조만간 풀릴 것으로 기대된다. 검찰이 본격적으로 이 사건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한 게 그 배경이다.

[그래픽 = 연합뉴스]
[그래픽 = 연합뉴스]

서울중앙지검의 이 사건 수사팀은 최근 검사와 수사관 20여명을 동원해 서울 중구에 있는 BMW코리아 사무실과 서울 강남구의 서버보관소를 압수수색했다. 지난해 11월 경찰이 해당 사건을 검찰로 송치한 지 10개월여 만의 일이다. 경찰도 수사 당시 문제의 장소 두 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단행한 바 있다.

검찰의 이번 압수수색은 누락된 전산자료 등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취해진 것으로 보인다. 보강 수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무언가 추가로 필요한 자료가 있다는 판단을 내렸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이번에 새로 확보된 자료에 대한 분석이 끝나면 김효준 BMW코리아 회장 등에 대한 검찰 소환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 회장은 BMW 독일 본사 관계자 등과 함께 차량 화재 피해자들로부터 고소당한 상태에 있다. 먼저 수사에 나섰던 경찰은 BMW 독일 본사의 하랄트 크뤼거 회장도 함께 입건했다. 그러나 특별한 혐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피해차량 차주들은 BMW 관계자들을 형사고소한 것 외에 제조사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소송도 제기했다.

이번 검찰 수사의 초점은 차량 화재 원인보다 BMW 측이 차량 결함 사실을 미리부터 알고 있었는지를 확인하는데 모아져 있다. 제조사 측의 사전 인지 여부에 따라 숱한 차량 화재 사건의 성격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만약 BMW 측이 차량 결함 사실을 진작부터 알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지면 다시 한 번 큰 파장이 일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한 뒤 결함 은폐의혹에 대해 조사한 바 있다. 조사 결과는 BMW가 2015년부터 차량 결함을 인지하고도 그 사실을 숨기거나 축소했다는 것이었다. 반면 2018년 당시 BMW 측은 “2016년부터 유럽에서 비슷한 사고가 발생했지만, 최근에야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에 결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는 취지의 설명을 내놓았었다.

2018년 차량화재 사고가 빈발하자 BMW는 국내 소비자를 상대로 대대적인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화재의 기술적 원인은 EGR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뜨거운 공기가 흡기다기관으로 유입됐고, 그로 인해 부품에 구멍이 뚫리는 현상이었다. 대대적 부품 교체 덕분인지 그 이후엔 BMW 차량 화재가 크게 감소했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