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스경제 = 김기영 기자] 미국의 긴축 강화 움직임이 국내외 증시 분위기를 무겁게 하고 있다. 당분간은 이런 기류가 이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국내외 증시는 지난 5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회의(FOMC) 의사록이 공개된 이후 크게 위축되는 모습을 보였다. 연준은 의사록을 통해 긴축시계가 한층 빨리 돌아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시사점은 크게 두 가지였다. ▲시장이 예상했던 것보다 빠른 시점에 기준금리를 올리는 게 정당화될 수 있고 ▲연준이 보유자산을 축소하는 조치, 즉 양적긴축에 나설 수도 있다는 것이 그 둘이었다. 연준의 지난달 FOMC 의사록은 위원들이 당시 회의에서 8조8000억 달러(약 1경500조원)에 이르는 보유자산을 축소하는 문제를 논의한 사실을 공개했다. 대차대조표 축소를 통한 시중 달러 흡수 가능성을 흘린 셈이다.

[그래픽 = 연합뉴스]
[그래픽 = 연합뉴스]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가속화와 기준금리 인상에 이어 양적긴축까지 하겠다고 나서자 시장 분위기는 곧바로 차가워졌다. 기준금리의 조기 인상 가능성이 거론되자 국채 금리가 먼저 반응하기 시작했고 이에 금리에 더 민감할 수밖에 없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주가가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런 흐름을 탄 결과 코스피는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 단기 반등에도 불구하고 2954.89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해 마지막 거래일 종가인 2977.65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주요 증권사들은 이번 주에도 특별한 호재가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 NH투자증권은 이번 주(10∼14일) 코스피가 2850∼3020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했다.

향후 증시 흐름을 가늠케 할 변수로는 미국 국채 금리 움직임을 꼽을 수 있다.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연준의 긴축 재촉 움직임을 반영, 지난 7일 1.76%로 상승했다. 지난해 말 1.51% 수준이었던 것이 일주일 만에 0.26%포인트 올라간 것이다.

이런 현상은 시장이 예상하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3월 이후에서 3월중으로 한 번 더 앞당겨진 것과 관련이 있다.

연준의 의중이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될 것이란 기대 속에 진행될 행사에도 눈길이 쏠리고 있다. 11일 열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재지명을 위한 미 의회의 인준 청문회가 그것이다. 이 자리에서 파월 의장이 긴축 속도와 관련해 모종의 메시지를 추가로 내놓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곧 이어질 미국 은행들의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도 관심을 끄는 사안이다. 하지만 금융사들의 경우 기준금리 인상의 긍정적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미리 감안할 필요가 있다.

[그래픽 = 연합뉴스]
[그래픽 = 연합뉴스]

12일 발표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도 눈길을 줄 필요가 있다. 최근 들어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장기간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지난달 CPI가 전년 대비 7.1% 올랐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1월 CPI 상승률은 6.8%였다. 예상 외로 높아지고 추세화된 미국의 고물가는 연준의 긴축 발걸음을 재촉할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의 주요 이슈 목록에는 14일 열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가 자리하고 있다. 시장은 이날 한은이 1.00%인 기준금리를 한 번 더 올릴지 주목하고 있다. 한은은 지난해 8월과 11월 연거푸 기준금리를 올린 바 있다. 하지만 이주열 한은 총재는 우리의 기준금리 수준이 여전히 완화적이라는 입장을 드러낸 바 있다.

10일 국내 증시는 코스피가 전장보다 7.52포인트(0.25%) 내려간 2947.37에서 거래를 시작했다. 이후 코스피는 하락세를 이어간 결과 전 거래일보다 28.17포인트(0.95%) 낮은 2926.72포인트에서 종가를 형성했다. 이날 개미들이 대거 주식을 사들였으나 기관과 외국인은 6000억원에 육박하는 순매도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