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스경제 = 김하림 기자] “3년 전만 해도 카페 사장님들은 자신의 경쟁 상대가 스타벅스라고 했어요. 근데 요즘은 말이 바뀌었어요. ‘노란 간판’이 적이라고요.”

전국카페사장협동조합 고장수 이사장이 전한 말이다. 노란 간판이란 저가커피 프랜차이즈 업체 메가MGC커피·컴포즈커피·빽다방을 뜻한다. 저가커피 3사의 간판이 모두 노란색인 데에서 나온 표현이다.

카페업계에 무한경쟁 시대가 열렸다. 특히 최근에는 저가커피 프랜차이즈들의 확장세가 눈에 띈다.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저가커피 3사의 매장 수는 2020년 2638개에서 2021년 3863개, 2022년 5305개로 늘었다. 2022년 1900여개이던 컴포즈커피의 매장수가 이달 2500개를 돌파한 것을 감안하면 현재는 더욱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 컴포즈커피 제공]
[사진 = 컴포즈커피 제공]

가맹본부의 매출도 상승세를 그렸다. 메가커피·컴포즈커피·빽다방의 매출 합은 2020년 2220억원, 2021년 3159억원, 2022년 5119억원이다. 영업이익 합도 같은 기간 424억원, 752억원, 796억원으로 올라갔다. 2년 사이에 매출과 영업이익이 2배 안팎으로 성장한 것이다. 가맹본부는 가맹점주들이 내는 가입비, 인테리어비, 로열티 등으로 수익을 내기 때문에 신규 매장이 생길수록 돈을 많이 번다.

하지만 가맹점주들은 쓴맛을 봤다. 수익 효율성의 지표인 면적(3.3㎡)당 매출을 살펴보자. 컴포즈커피 가맹점의 면적당 매출은 2020년 1815만원, 2021년 1789만원, 2022년 1721만원으로 내리막을 걷고 있다. 빽다방도 2021년(2021만원)과 2022년(2043만원) 매출이 2020년(2231만원)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유일하게 메가커피만 2020년 1895만원, 2021년 2025만원, 2022년 2042만원으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오름폭은 둔화됐다.

가맹점 수익성 악화의 원인은 과밀 출점이다. 고장수 이사장은 “한 건물에 스타벅스, 저가커피, 개인카페가 다 있는 상황도 흔하다”며 “커피 프랜차이즈들이 무분별하게 출점한 탓에 타 브랜드는 물론 같은 브랜드끼리도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확인을 위해 배달의민족에서 위치를 서울 여의도역으로 설정하고 ‘메가커피’를 검색해봤다. 배민배달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메가커피만 31개에 달했다. 컴포즈커피와 빽다방도 각각 15개, 12개가 검색됐다.

경쟁에서 밀려난 카페는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국세청에 따르면 2018~2022년 커피음료점의 사업 존속 연수는 평균 3년1개월이다. 소매·음식·숙박·서비스 분야 100대 생활 업종의 평균 사업 존속 연수(8년9개월)의 반도 되지 못하는 수치다.

이러다 보니 일각에서는 카페도 출점제한을 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실제로 편의점과 베이커리 업계에는 동종업종 근접출점 제한 자율규약이 있다. 편의점업계는 2018년부터 ‘편의점 산업의 거래 공정화를 위한 자율규약’을 통해 지방자치단체별로 50~100m의 근접출점에 제한을 두고 있다. 베이커리업계는 동네 빵집 500m 내에 대기업 프랜차이즈의 신규 출점을 금지하는 협약을 2013년부터 시행 중이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