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 심리가 대출 양상마저 바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년 전에 비해 1주택자의 대출 총액이 늘어난 반면 다주택자의 대출 총액은 오히려 줄어든 것이 그같은 추론을 뒷받침한다.

1주택자의 대출 총액 증가는 빚내서 집을 산 무주택자의 증가를, 다주택자의 대출 총액 감소는 구조조정을 통한 ‘똘똘한 한 채’로의 회귀 현상을 암시하는 것이란 해석이 그같은 추론의 기반이다. 특히 다주택자들의 대출 총액 감소는 소유 주택 조정을 통해 부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환하는 이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 모든 현상은 올들어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 등에서 집값이 급등한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의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이 10일 나이스 신용평가정보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37%인 1903만명이 가계부채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액수는 총 1531조원에 달했다. 이를 가계부채 보유자 1인 평균으로 환산하면 8043만원이다. 기준 시점은 지난 6월말이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가계부채 총액은 77조원(5.3%), 1인당 부채는 260만원(3.3%) 늘었다.

[그래픽 = 연합뉴스]
[그래픽 = 연합뉴스]

가계부채 보유자 중 631만명(33.2%)은 자기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다. 이들에 의한 담보대출 총액은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63.9%에 해당하는 978조원이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의한 1인당 평균 부채는 1억5486만원으로 비교적 규모가 컸다. 주담대가 없는 나머지 대출 보유자 1272만명의 1인당 평균 부채 규모는 4348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주담대 1건만 지닌 사람을 1주택자로 가정할 경우 전체 주담대 보유자 631만명 중 79.5%는 1주택자이고, 나머지 129만명(20.5%)은 다주택자라는 추산이 가능해진다. 즉, 주담대 보유자 5명중 1명은 다주택자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이를 전제로 삼을 경우 자료에서 특히 눈여겨볼 점은 1주택자의 부채 총액이 689조원으로 1년 전에 비해 38조(5.8%) 늘어난 반면, 다주택자의 부채 총액은 288조원으로 1년 전보다 8조원(2.7%)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1인당 평균 부채로 환산할 경우 1주택자의 주담대 규모는 1억3742만원으로 1년 사이 557만원(4.2%) 늘었고, 다주택자의 주담대는 2억2233만원으로 지난해보다 불과 13만원(0.1%)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를 종합하면 지난 1년 사이 주담대로 새로 집을 마련해 1주택을 보유한 사람 수와 ‘똘똘한 한 채’ 보유로 입장을 바꾼 사람이 늘어났음을 추정할 수 있다.

특히 다주택자들의 주담대 총액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1인당 평균 주담대가 미세하게나마 증가한 것은 다주택 채무자의 절대수가 줄어들었음을 분명히 보여주는 요소라 할 수 있다.

한편 주담대 보유자의 23.1%인 146만명은 다중채무자였다. 이들은 주로 신용대출이나 카드론 등을 통해 대출을 추가로 받았다. 이들 다중채무자의 부채 총액은 1년 전보다 22조원(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채무자의 1인당 평균 부채는 2억2950만원이었고, 그 중 주담대의 비율은 63.9%였다.

김병욱 의원은 “투기 수요가 반영된 다주택자 및 초고가 주택 보유자에 대한 과도한 대출을 엄격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