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스경제 = 김기영 기자]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강한 기세로 전개되고 있음이 지표로써 확인됐다. 이는 곧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기조가 보다 강하게,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임을 사실상 예고하는 것이어서 시장을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13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노동부는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년 전보다 8.3%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시장은 이를 충격으로 받아들였다. 수치상으로는 두 달 연속 내림세를 보였지만, 물가가 조만간 잡힐 것이란 기대와는 거리가 있는 결과였기 때문이다.

미국의 CPI 상승률은 지난 6월에 9.1%로 정점을 찍은 뒤 7월 8.5%, 8월 8.3%의 내림세를 보였다. 문제는 8월 CPI 상승률이 시장의 예상치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권위 있는 다우존스가 예상한 8월 CPI 상승률은 8.0%였다. 전월 대비 8월 CPI 상승률 또한 시장 전망치였던 -0.1%보다 훨씬 높은 +0.1%로 집계됐다.

또 하나 시장을 놀라게 한 것은 근원CPI 흐름이었다. 근원물가는 에너지와 식품처럼 철 따라, 돌발 요인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크게 나타나는 품목들을 제외한 채 작성되는 물가를 지칭한다. 당연히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로서 더 큰 의미를 지닌다. 연준이 일반 CPI보다 더 유의 깊게 살피는 지표이기도 하다.

[그래픽 = 연합뉴스]
[그래픽 = 연합뉴스]

미국의 8월 근원CPI는 전년 동월 및 전월 대비로 각각 6.3%, 0.6% 상승했다. 이는 7월 근원CPI 상승률을 크게 웃도는 수치들이다. 7월 근원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로는 5.9%, 전월 대비로는 0.3%를 기록했었다. 8월의 근원CPI 상승률은 시장 전망치(전년 동월 대비 6.0%, 전월 대비0.3%)보다도 높았다.

근원CPI의 이 같은 흐름은 미국 물가의 기조적 흐름이 아직도 오르막을 타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국제유가가 비교적 큰 폭으로 내림에 따라 CPI 상승률이 하락했지만 물가의 일반적 추세는 여전히 상승흐름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는 의미다. 근원CPI 상승률의 확대는 6개월 만에 처음 나타난 현상이다.

8월중 미국의 에너지 물가는 휘발유 가격 하락(전월 대비 -10.6%)에 힘입어 전달보다 5.0%나 떨어졌다. 하지만 주거비용과 식료품 가격, 의료비 등이 큰 폭으로 늘어난 탓에 전체적으로는 8%대의 상승률을 기록하게 됐다. 에너지 중에서도 우크라이나 사태로 공급난이 심화된 천연가스는 전달 대비 3.5% 상승률을 기록했고, 전기료의 경우 1년 전보다 15.8%나 비싸졌다.

전체 CPI 중 3분의 1 비중을 차지하는 주거비용이 전월 대비 0.7%, 전년 동월 대비 6.2% 상승한 점도 눈길을 끌었다. 미국은 우리와 달리 자가주거비까지도 물가 상승률 계산에 반영한다. 자가주거비란 자기가 살고 있는 집을 세놓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임대료 수익을 의미한다. 이 액수가 커지면 자기 집에 거주하는데 따른 비용이 그만큼 늘어난 것으로 간주된다.

[그래픽 = 연합뉴스]
[그래픽 = 연합뉴스]

블룸버그는 미국의 8월 주거비 상승폭이 1990대 초 이후 가장 높았다고 전했다.

미국의 이 같은 물가 흐름은 연준의 긴축 기조를 보다 강화시키고 장기화시킬 것이란 관측을 낳았다. 당장 이달 20~21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크게 올릴 것이란 전망이 강해졌다. 대체적 관측은 세 번 연속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을 밟을 것이라는데 모아졌다.

연준이 이번에는 울트라 스텝(1.00%포인트 인상)을 취할지 모른다는 우려 섞인 전망도 나오기 시작했다. 울트라 스텝은 연준이 1990년대에 현행 연방기금금리(FFR) 체계를 도입한 이래 한 번도 취해본 적이 없는 행보다. FFR은 미국의 일반 은행들이 연방기금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적용받는 금리를 말한다. 따라서 FFR은 미국의 기준금리로 통칭된다.

향후의 기준금리 확률을 보여주는 지표로 자주 활용되는 시카고상업거래소(CME)의 페드워치(FedWatch) 툴에 의하면 8월 CPI 발표 직후 연준이 이번 달에 0.5%포인트 인상 카드를 택할 확률은 제로로 바뀌었다. 대신 하루 전까지 전혀 거론되지 않았던 울트라 스텝의 확률이 38%로 치솟았다. 일본 노무라 투자은행의 애널리스트들도 이달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전망치를 1%포인트로 즉각 수정했다.

더욱 중요한 점은 연준의 행보가 금리 인상폭을 단발성으로 키우는데 그치지 않을 가능성에서 찾아진다. 연준이 인플레를 잡는데 보다 긴 시간이 필요해짐에 따라 긴축 기조가 예상보다 장기화될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연준의 긴축 행보가 올해를 넘어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래픽 = 연합뉴스]
[그래픽 = 연합뉴스]

노무라는 연준이 내년 2월까지 기준금리를 최대 4.75%까지 올릴 가능성을 제시했다. 13일 현재 기준금리 상단이 2.50%임을 감안하면 2.25%포인트 추가 상승을 점치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골드만삭스는 연준이 이달 0.75%포인트, 오는 11월과 12월에 각각 0.50%포인트 인상 카드를 쓸 것으로 전망했다. 이 전망대로라면 연준의 기준금리 상단은 올해 말 4.25%선에 도달한다.

연준의 속내는 이달 FOMC 회의 직후 어느 정도 가늠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달 통화정책 회의 직후 점도표를 공개하기 때문이다. 점도표는 연준 위원 각자가 전망하는 향후 기준금리 수준을 그림(점)으로 나타내주는 그래프다. 물론 위원들의 생각이 앞으로 변할 수 있지만 시장 참여자들은 점도표를 통해 미국의 향후 기준금리 흐름이 어떻게 전개될지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지난 6월 회의 직후 연준이 공개한 점도표는 위원들이 전망하는 올해 말 기준금리가 3.4%였음을 보여주었다.

연준이 금리 인상의 고삐를 더 강하게 조이면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추가 인상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 만약 연준이 이달 중 울트라 스텝을 취한다면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미국의 금리가 더 높은 현상)이 실현되고 그 폭도 1%포인트로 커지게 된다. 한은으로서는 외화의 해외 유출, 그에 따른 국내 증권시장·외환시장 혼란을 해소하기 위해 덩달아 긴축 강도를 높여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하지만 큰 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은 그렇지 않아도 약해진 경제성장 동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 이전에 저금리 시대를 틈타 부채를 늘려온 기업 및 가계의 이자부담 증대가 발등의 불이 될 수 있다. 그런 만큼 한은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