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스경제 = 최진우 기자] 전국에 걸쳐 주택 매매심리가 되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집값 상승 분위기가 서울과 수도권을 넘어 전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엿보게 하는 조사 결과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분위기 변화는 국토연구원(국토연)이 매달 집계하는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의 흐름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국토연의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0~200의 값으로 표현되며, 결과 값에 따라 크게 세 개 국면으로 분류된다. 이 값이 95 미만이면 하강, 95 이상~115 미만이면 보합, 115 이상이면 상승 국면에 해당한다. 지수 조사는 152개 시·군·구의 6680개 일반인 가구와 중개업소 2338개소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이 지수는 주택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국내 유일의 부동산시장 동향 관련 정성적 지표로서 통계청 국가승인통계로 인정받고 있다.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를 구성하는 하위지수로는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와 주택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가 있다. 최근 들어 월세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 월세시장에 대한 소비심리지수는 생산되지 않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주택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주택 매매와 전세 가격의 시장 동향을 대변하는 만큼 시장가격의 향후 경로를 예상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연구원이 16일 공개한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상승 국면으로, 전세 소비심리지수는 보합 국면으로 각각 상향 진입했다.

전국의 7월 매매시장 지수는 117.0으로 전달 대비 2.9포인트 상승했다. 이 지수는 올해 1월 91.5로 집계된 이후 줄곧 상승세를 타더니 7월 들어 마침내 경계선인 115를 넘기며 상승 국면으로 올라섰다. 전국 주택 매매심리지수가 상승 국면에 들어서기는 지난해 4월(116.0) 이후 처음이다.

다만, 상승 국면에 막 들어선 상태인 만큼 아직 전국적으로 본격적인 집값 상승이 예상된다고 보는 것은 무리일 수 있다.

서울의 7월 주택 매매심리지수는 전월보다 3.8포인트 올라간 123.7을 나타냈다. 이 지수는 8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의 매매심리지수는 지난 5월 보합에서 상승으로 국면 전환을 한 바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경기도의 매매심리지수 또한 8개월 연속 오름세를 유지했다. 이 지수의 7월 집계치는 전달 대비 6.1포인트 상승한 121.0이었다. 약간의 시차는 있었지만 서울 지수와 마찬가지로 보합을 지나 상승 국면으로 접어든 것이다.

기타 지역에선 세종이 127.2, 강원이 123.2, 대전이 118.7의 매매심리지수를 기록했다. 지난달의 경우엔 부산(7.8포인트), 강원(7.8포인트), 경기(6.1포인트)에서의 매매심리지수 상승 폭이 비교적 컸고, 경북(-6.9포인트), 충북(-6.6포인트), 대구(-4.0포인트) 등에서는 하락 흐름이 나타났다.

전국의 주택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지난달 95.4를 나타냈다. 이는 전달보다 3.0포인트 오른 값이며 상승 흐름은 7개월째 이어졌다. 이 지수는 지난해 6월(98.2) 이후 1년 1개월 만에 다시 하강 국면을 벗어나며 보합 국면으로 진입했다.

주택과 토지를 합친 전국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지난달 104.5를 기록하며 보합 국면을 유지했다. 전달 대비 상승폭은 2.9포인트다.

최근 주택시장 흐름을 두고는 엇갈리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매매가격 추가 상승을 점치는 의견이 늘고 있는 가운데 본격적인 상승을 점치기엔 시기상조라는 신중론도 만만찮게 제기된다. 일례로 국토연구원의 이수욱 선임연구위원과 황관석 부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국토이슈 리포트의 ‘주택시장 경착륙 위험완화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통해 주택경기의 본격 회복이 시작됐다고 보기엔 아직 이르다는 분석을 제시했다. 대외환경 불안 요인의 상존 등이 그런 분석의 이유였다.

이들 연구자는 최근의 주택시장 지표와 순환국면분석 결과를 거론하며 주택시장이 조기 경착륙 위기에서 벗어날 것임을 예상할 수 있지만 완전한 회복 또는 상승 국면으로 전환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이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가격 불안이 없는 중장기 시장 안정을 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당분간은 지금의 부동산 정책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