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가 5%대로 떨어지면서 가파르게 치솟던 물가 상승세가 한풀 꺾인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국제유가 상승세가 주춤한 게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 만큼, 농축수산물과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 외식과 장바구니 물가 등은 높은 상승폭을 보여 서민경제의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통계청이 내놓은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62(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7% 올랐다. 1998년 11월(6.8%) 이후 2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던 7월(6.3%)보다 증가세가 둔화했다. 물가상승률이 전달보다 낮아진 것은 올해 1월 이후 7개월 만이다. 1월 3.6%를 시작으로 계속 상승해 3월(4.1%)에 4%대로 올라선 뒤 6월(6.0%)과 7월(6.3%)에는 6%대에 진입하기도 했다. 두 달 연속 6%대를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만에 5%대로 소폭 하락한 것이다.

주목할 점은 전달 대비 등락이다. 8월엔 전달(108.74)보다 0.1% 하락했는데, 이는 2020년 11월(-0.1%) 이후 21개월 만의 하락 전환이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아직 5%대의 높은 물가수준이지만 그 기세가 한풀 꺾인 것으로 평가된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도 전년 같은 달보다 4.4% 상승하며 전달(4.5%)보다 오름세가 소폭 둔화됐다. 향후 1년의 물가상승률을 예상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7월 4.7%에서 8월 4.3%로 낮아졌다. 이 역시 여전히 높지만 지난해 12월 이후 첫 하락이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앞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6.3%가 정점이 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그는 SBS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에 나와 “6.3% 언저리가 거의 정점에 가깝고, 현재로선 시간이 지나며 안정되고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며 “대외변수가 있는 만큼 딱 부러지게 말할 순 없지만 추석이 고비다. 추석 고비 넘기면 물가가 조금씩 안정세를 보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정부는 추석을 앞두고 물가를 잡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의 할인쿠폰(650억원)을 배포하고 농축수산물 방출·긴급수입 등 모든 가용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다만 8월 소비자물가 진정에는 국제유가 하락이 크게 한몫했다. 국제유가는 3~7월 배럴당 100달러를 웃돌던 흐름에 비해 진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배럴당 두바이유 평균가격은 △3월 111달러 △4월 103달러 △5월 108.3달러 △6월 115.7달러 △7월 106.5달러 △8월 97.7달러를 기록했고 1일 기준으로는 92.1달러까지 떨어졌다. 지난해 12월 평균 72.8달러를 기록한 것에 비하면 아직도 높지만 최근 들어 안정적 흐름을 보이는 모양새다. 휘발유가격도 ℓ당 △5월 1967.1원 △6월 2084.0원 △7월 2030.0원 △8월 1792.2원 △9월 1일 1742.5원을, 경유는 △5월 1468.9원 △6월 1964.3원 △7월 2089.0원 △8월 1889.3원 △9월 1일 1850.3원 등 비슷한 속도로 하향 안정화 중이다. 8월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전달 대비 각각 12.4%, 10.0% 하락했다.

품목성질별 분류에서 석유류지수는 전달보다 10% 하락했다. 석유류가 전달보다 10% 하락한 것은 1998년 3월 15.1% 하락한 이후 최대치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의 기여도가 지난달 1.59에서 0.9로 줄었다면서 “거의 (소비자물가지수를 전달 상승폭 대비) 0.6%포인트 하락시키는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지출목적별 분류에서 전달보다 유일하게 하락한 교통(-4.9%)의 경우도 석유류가격 하락에 기인했다. 교통물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 휘발유 및 경유와 같은 석유류제품인 까닭이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8월 물가상승률이 다소 주춤해졌지만, 물가 자체는 높은 수준이다. 전기·가스·수도 상승률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5.7% 올라 전달과 같았고 전기료(18.2%)와 도시가스(18.4%), 지역난방비(12.5%), 상수도료(3.5%) 모두 일제히 올랐다. 더욱이 공공요금 인상 여파로 전기·가스·수도 상승률은 관련 조사가 시작된 2010년 1월 이후 가장 높았다.

서민경제에 큰 영향을 끼치는 장바구니 물가도 매우 높은 수준이다. 농축수산물은 7.0% 올라 7월(7.1%)과 비슷했고 이중 농산물 상승률이 10.4%로 전달(8.5%)보다 크게 높아졌다. 특히 배추(78.0%)와 오이(69.2%), 파(48.9%) 등 채소류가 27.9%나 올라 전반적인 농산물 물가를 끌어올렸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여름 성수기 수요 증가 등으로 외식 등 개인서비스 품목의 물가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개인서비스 품목은 전년 같은 달보다 6.1% 올라 1998년 4월(6.6%)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달에도 추석 명절 성수기에 따른 수요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소비자가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6.8% 올라 전월(7.9%)보다 상승폭이 다소 둔화했지만 여전히 높다.

8월 이후 계속 소비자물가가 안정세를 이어갈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물가안정세가 국제유가 하락에 기인하고 있으나, 현재 산유국 협의체에서 감산 이야기가 나오는 등 재상승 요인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어 심의관은 “최근 들어 오펙플러스(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가 감산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국제유가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인 만큼 물가가 정점을 지났는지는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조심스럽다”고 진단했다.

한국은행도 이날 이환석 부총재보 주재로 ‘물가상황 점검회의’를 연 뒤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상당 기간 5~6%대의 높은 상승률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구체적으로 국제유가의 경우 글로벌 수요둔화 우려가 하방 리스크로 잠재해 있지만, 러시아·유럽 갈등 고조에 따른 에너지가격 급등 가능성이 여전히 상방 리스크로 남아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위원(전 서울신문 선임기자·베이징특파원)

저작권자 © 나이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